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지난해 8월 출시한 ‘지역사랑 철도여행’ 상품을 약 6만여 명이 이용하며 큰 호응을 얻고 있다고 밝혔다.
‘지역사랑 철도여행’은 국민 여행경비 부담을 줄이고 인구감소지역 관광활성화를 위해 코레일이 정부, 공공기관, 전국 33개 지자체와 업무협약을 맺고 열차운임 50% 할인과 지역 관광명소 체험할인 혜택을 결합한 여행상품이다.
‘지역사랑 철도여행’은 고객이 직접 여행지를 선택하여 관광지를 자유롭게 찾아가는 자유여행상품, 전문여행사 가이드가 동행하는 패키지상품, 코레일의 관광전용열차를 이용한 관광열차상품으로 운영하고 있다.
자유여행은 △보성 녹차밭, △영주 부석사, △제천 의림지 등이 인기가 있다. 특히 보성군에 방문하면 고운 은빛 모래밭에 해송이 어우러진 율포해수욕장과 사계절 내내 풍경이 아름다운 제암산 자연휴양림을 탐방할 수 있다.
패키지상품은 △밀양 역사문화투어, △정선 아리랑열차 타고 떠나는 정선 장날 여행, △무주 덕유산 향적봉 곤도라·하늘물빛 정원 △익산 ‘익산시티 동행! 백반(백제에 반하다) 여행상품 등이 있다.
관광열차는 △영동 지역을 방문하는 국악와인 열차와 전통시장을 방문하는 팔도장터열차가 인기가 있다. 인기 비결은 국악과 와인을 테마로 한 특색있는 체험 프로그램에 있다.
아울러, 인구감소지역 누적 관광객 6만여 명을 경제적 파급효과로 환산하면 약 167억 원의 생산유발효과를 일으킨 것으로 추산된다.
[NewsCatch_뉴스캐치]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1월까지 개통한 서해‧평택선, 중부내륙선, 중앙선, 동해선, 교외선 등 5개 노선에서 1월 한 달간 이용객이 49만 명으로 집계됐다고 13일 밝혔다.
기존 구간(중앙선‧중부내륙선)에서 18만 명, 신규, 연장개통 구간에서 31만 명이 이용한 수치다. 동해선이 18만 명으로 가장 많았고, 중앙선과 중부내륙선은 각각 16만 8천 명, 9만 8천 명으로 나타났다.
특히, 동해선은 지난달 하루 평균 6천 명 이상의 신규 수요를 창출했고, 중앙선과 중부내륙선도 연장 개통 이전 대비 이용객이 약 40% 늘었다.
[5개 신규 개통 노선]
<동해선>
먼저, 동해선은 강원도와 경상도를 약 5시간 동해안 생활권으로 만들었다. 그동안 강릉∼동해, 포항∼부전 구간만 운영되다가 올해 1월 1일 중간의 삼척~영덕 구간이 개통하며 전 구간이 연결됐다.
ITX-마음이 강릉↔부전 8회, 강릉↔동대구 2회 운행 중이며, 누리로가 강릉↔동대구 6회로 1일 16회 다닌다.
하루 평균 6,045명, 한 달 누적 이용객은 18만 명이다. 강릉↔부전 구간 이용자가 9.8%로 가장 많다.
동해선에 대한 수요과 관심이 높아지자 지자체들은 철도와 지역의 유명 관광지와 축제를 연계한 관광상품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중앙선>
중앙선은 지난해 12월 20일에 안동↔영천 구간 복선전철이 개통(145.1km)하며, 청량리에서 부전까지 운행을 시작했다.
청량리에서 부전까지 KTX-이음은 3시간대, ITX-마음은 5시간대면 도착한다. KTX-이음이 6회, ITX-마음이 4회 다닌다.
수도권과 충북, 경북 등 중부내륙지역 간 이동이 쉬워지자 개통 이후 하루 평균 5,437명, 1월에만 16만 8천여 명이 이용했다. 청량리↔태화강 구간 이용 비율이 전체 10.2%로 가장 크다.
<중부내륙선>
중부내륙선은 2021년 1월 5일 부발(이천)↔충주 구간이 개통하고, 2023년 12월 28일 판교역 연장, 2024년 11월 30일에 판교↔문경(39.2km)까지 연장 개통하며 KTX-이음이 하루 8회 운행하고 있다.
이번 개통으로 판교에서 문경까지 90분이면 갈 수 있게 됐다. 승용차 대비 최소 30분, 시외버스 대비 90분 이상 빨라져 판교↔문경 구간의 이용객 수가 전체 구간의 큰 비중을 차지한다.
1월 이용객이 9만 8천여 명, 하루 평균 이용객은 3,180명으로 기존보다 1,354명 늘었다. 지역들은 관광 인프라를 확충하는 한편, 관광객 유치를 위한 다양한 활동에 나서고 있다.
<서해‧평택선>
지난해 11월 2일 운행을 시작한 서해‧평택선은 충남 홍성과 경기 화성을 잇는 90km 구간으로, ITX-마음 열차가 홍성↔서화성 간 8회, 평택↔천안↔홍성↔안중 구간을 순환 형식으로 6회 다닌다.
경기 서남부와 충남 서북부 간 1시간대에 이동할 수 있게 되면서, 하나의 생활권으로 연결됐다. 지난 1월 하루 평균 728명, 모두 2만 2천여 명이다. 부분 개통에 따른 고객 불편함을 줄이기 위해 셔틀버스도 1일 4회 운행 중이다.
서해선과 연결되는 신안산선 서화성↔원시 구간이 개통하고, 경부선과도 이어지면 서해안 항만과 내륙을 잇는 화물 철도망 기능까지 더해져 서해안 권역이 크게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교외선>
교외선은 2004년 이용 인원 감소로 운행이 중단된 뒤 코레일과 정부, 각 지자체(경기도 고양·의정부·양주시)간 협력으로 지난달 11일, 21년 만에 재개통했다.
의정부∼양주∼고양 30.3km를 단선으로 운행한다. 의정부·송추·장흥·일영·원릉·대곡 등 6개 역에 정차한다. 의정부↔고양 대중교통 이동시간 기준 기존 90분에서 50분으로 약 45% 단축했다. 개통 이후(1월 기준) 하루 평균 555명, 1만 1천여 명이 이용했다.
현재 무궁화호가 8회 오가며 초기 안정화 단계를 거치고 있다. 지자체와 지역주민 의견 등을 반영해 열차 운영시간을 출퇴근 시간대 열차를 낮 시간대로 일부 조정하기도 했다. 앞으로 열차가 추가 투입되면 경기 북부 주민의 이동권 향상과 관광 분야에 새로운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주목된다.
코레일은 신규 노선의 이용객 추이, 고객 만족도 등을 분석해 지속적 서비스 개선과 안정적인 운영을 이어가고, 향후 KTX-이음 등 열차를 추가 도입해 철도 서비스를 확대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