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원식 국회의장, “국민적 공감대에 기초한 개헌 논의 필요”
“4년 중임제와 민생개헌, 제도적 보완의 필요성 강조”
“국민 공감대와 정당 합의 바탕으로 개헌 논의 이어가야..."
“4년 중임제와 민생개헌, 제도적 보완의 필요성 강조”
“국민 공감대와 정당 합의 바탕으로 개헌 논의 이어가야..."

(서울=국제뉴스) 고정화 기자 = 9일 우원식 국회의장은 대선 동시투표 개헌이 사실상 어려워졌다는 판단을 밝히며, 국민적 공감대와 제 정당의 합의를 바탕으로 대선 이후 본격적인 개헌 논의를 이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 의장은 민주당, 조국혁신당, 진보당 등 주요 정당들이 정국 수습을 우선시하며 개헌 논의에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는 점을 언급하며, 국민의힘이 주장하는 국회 권한 축소 방향의 개헌은 사실상 합의가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작년 제헌절 경축사에서 2026년 지방선거 동시 개헌을 공식 제안한 바 있으며, 이번 개헌 제안의 배경으로 4년 중임제 도입을 통한 책임 정치 구현 , 12.3 비상계엄 사태와 같은 국가적 위기 방지를 위한 제도적 보완 ,선출되지 않은 권력의 폐단 해결 등을 제시했다.
우 의장은 “대선 전이 대통령 임기를 정하는 4년 중임제를 합의할 수 있는 유일한 시간”이라며, 차기 대통령 결정 전에 개헌 논의를 매듭짓는 것이 현실적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국회의 계엄 승인권 도입과 대통령 권한대행의 권한 범위 명확화를 통해 국가적 혼란을 방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통령제는 6월 민주항쟁의 결실”이라며, 내각제 개헌 주장은 국민적 동의를 얻기 어렵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우 의장은 합리적이고 진지한 토론 문화를 통해 개헌 논의가 생산적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고정화 기자 mekab3477@naver.com
<국제뉴스에서 미디어N을 통해 제공한 기사입니다.>
Copyright ⓒ 국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