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캐치 안성진] 인천연구원(원장 이용식)은 2021년 정책과제로 수행한 “계절관리제 시행에 따른 인천지역 대기질 변동 분석” 보고서를 발표했다.
2019년 도입한 계절관리제는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12월부터 다음해 3월까지 승용차 운행감축 및 미세먼지 배출규제 및 지원정책을 강화하여 고농도 발생을 낮추기 위한 집중관리 대책이다.
이번 연구는 계절관리제 시행과 즈음하여 2019년 말 발생한 코로나 확산으로 인한 사회경제 활동 변동과 대기오염물질 배출 특성, 대기질 변화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기상 조건의 유의할만한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인천지역 대기질 변동 특성을 밝히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인천지역과 영향권 내의 다양한 기초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9년 계절관리제 시행기간에는 PM10과 PM2.5 등 미세먼지의 측정농도가 계절관리제나 코로나 상황 등을 고려하지 않은 BAU 수준에서의 추정 대기질에 비해 5.7% 정도 낮은 농도 수준을 보여주고 있어 연간 농도 격차인 2.2%보다 크게 나타났다. 연간 지속되었던 코로나의 영향이 인천지역 미세먼지 개선효과는 2.2% 수준이고, 계절관리제 기간에는 기상요인과 계절관리제 등 동절기 복합효과 3.5%를 추가하여 전체적으로 5.7% 개선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양한 조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현재의 계절관리제 시행은 공공기관과 소형차량 중심의 추가감축을 우선시 하고 있다. 인천지역에서 계절관리제 시행에 따른 효과를 배가하기 위해서는 대형 물류 운송과 산업 및 건설 부문에서의 민간 배출시설의 적극적인 참여가 중요하고, 관리대상 배출시설에서의 감시모니터링 체계를 확충하고 감축 노력에 적극적으로 동참할 수 있도록 배출원에 대한 인센티브 등이 함께 모색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인천연구원 조경두 선임연구위원은 “정책여건 변화에 따른 정교한 분석을 위해서는, 인천지역의 다양한 사회경제적 지표를 통해 상대적으로 신속한 배출량 집계를 할 수 있는 체계를 형성하고 현재 122개 지점에서 운영 중인 도로교통량측정소(VDS)에서의 조사자료를 대기질 측정자료와 공간적으로 연계할 수 있도록 통합적 정비가 필요하다. 이 외에, 백령도 측정소 등 도심 외곽의 배경농도자료를 활용하여 1~2시간 정도 일찍 인천지역의 대기환경에 미칠 장거리 유입에 의한 영향을 확인할 수 있는 조기 대응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