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교통공사는 초거대 언어모델인 GPT를 지하철 안전 분야에 활용한 안전 챗GPT를 시범 구축한다고 밝혔다.
언어모델은 사용자가 문장을 입력하면 가장 적절한 내용을 출력하는 모델로, 챗GPT와 같은 초거대 언어모델의 경우 학계 등에서도 크게 주목받고 있다.
지난 4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에서 공모한 “민간의 첨단 초거대 인공지능 활용지원(수요연계형) 사업”에 공사가 선정되면서 안전 챗GPT를 구축할 수 있게 되었다.
공사는 시범 구축을 위해 인공지능과 데이터사이언스 분야에 원천기술을 보유한 솔트룩스사와 협업해, 올해 12월 15일경 안전 챗GPT 시범 구축을 마무리하고 내년부터 업무에 도입할 예정이다.
안전 챗GPT 시스템상에서 대화가 가능하며, 검색시스템까지 연계할 예정이다.
GPT는 방대한 양의 정보를 사전학습하고, 관리자 측이 각종 질문에 대한 올바른 답변을 작성하기 위해 미세한 조정과정인 파인튜닝 단계를 거친다. 이후 제공되는 답변들의 적절한 순위를 매기는 단계를 거쳐 나가면서 정확도를 높여나가는 구조다. 공사는 안전 챗GPT를 솔트룩스사의 언어모델인 안전 챗GPT를 통해 구축할 예정이다.
공사는 솔트룩스사와 함께 안전 챗GPT에 철도안전법 등 안전 관련 법령, 업무 지침서, 매뉴얼, 용어 사전 등의 데이터를 사전 학습시키고, 다수의 질문지를 입력하면서 파인튜닝 단계를 진행하게 된다. 수백 가지의 질문지를 통해 파인튜닝 단계를 거치면서 언어모델의 구조적인 약점인, 잘못된 정보를 사실인 것처럼 제공하는 환각현상을 최소화하고 답변의 정확도를 높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