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교통사고 사망자 역대 최저... 고령 보행 사망자는 전년대비 증가
2024년 교통사고 사망자 역대 최저... 고령 보행 사망자는 전년대비 증가
  • 뉴스캐치/NEWSCATCH
  • 승인 2025.05.28 10:2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도로교통공단 전경

지난해 교통사고 사망자수가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교통사고 통계를 공식적으로 집계하기 시작한 1970년 이래 가장 낮은 수준이다. 반면 고령 보행자와 자전거 사고는 증가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도로교통공단은 2024년 교통사고 사망자가 전년보다 1.2%(30명) 감소한 2,521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사망자 수는 2013년부터 12년 연속 감소하며 교통안전 개선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

그러나 세부 항목을 살펴보면 보행 중 사망자는 전년보다 3.8% 증가한 920명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65세 이상 고령자가 절반을 넘었다.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 중 보행 중 사망자의 비율은 36.5%로 자동차 승차 중(34.6%), 이륜차 승차 중(20.9%)보다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 사망자 사고 시 상태(’24년) : 보행중(36.5%) > 자동차승차중(34.6%) > 이륜차승차중(20.9%)

교통사고 사망자의 연령대별로는 65세 이상이 전년 대비 59명 증가한 1,299명으로 전체 사망자의 약 절반(51.5%)에 달했다. 12세 이하 어린이 사망자는 12명으로 2명 감소했다.

교통사고 건수는 시간대별로는 오후 6시 전후 퇴근시간대에 가장 많이 발생했으며, 요일별로는 주중 특히 금요일에 집중됐다. 월별로는 10월에 가장 많은 사고가 발생했다.

두 바퀴 교통수단인 이륜차, 자전거, 개인형 이동장치(PM)의 차종별 사고 추이를 보면 이륜차와 개인형 이동장치의 사고는 감소한 반면 자전거 사고는 증가했다. 개인형 이동장치(PM) 사고는 해당 통계 수집이 시작된 2017년 이후 처음으로 감소세로 전환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 이륜차 사고 : ’22년18,295건 → ’23년16,567건 → ’24년15,290건 (전년대비 7.7% 감소)

* 개인형이동장치(PM) 사고 : ’22년2,386건 → ’23년2,389건 → ’24년2,232건 (전년대비 6.6% 감소)

* 자전거 사고 : ’22년5,393건 → ’23년5,146건 → ’24년5,571건 (전년대비 8.3% 증가)

음주운전 사고는 전년 대비 15.4% 감소하며 2년 연속 줄어들었고, 렌터카 사고도 4.1% 감소해 지속적 감소 추세를 이어갔다.

* 음주운전 사고 : ’22년15,059건 → ’23년13,042건 → ’24년11,037건 (전년대비 15.4% 감소)

* 렌터카 사고 : ’22년9,779건 → ’23년9,496건 → ’24년9,110건 (전년대비 4.1% 감소)

현철승 한국도로교통공단 교통AI빅데이터융합센터장은 “자동차 1만 대당 사망자 0.9명으로 OECD 회원국 평균(1.0명)*에 근접하며 교통안전 선진국 진입 가능성이 높아졌다”면서 “남은 과제로는 고령 보행자와 자전거 등의 교통안전 확보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 OECD 통계는 가장 최근 공개된 ’22년 기준 자료

공단은 교통사고 통계를 기반으로 한 정책 지원 및 예방 대책 마련을 통해 국민 생명 보호에 기여해 나갈 방침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